
㈜노디너리는 새로운 ODM 서비스, ‘COSMETIC ODM 3.0’으로 명명할 수 있는 ‘OTM’을 지향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 전문 기업으로 △ 2021년
ISO 22716 획득 △ 2022년 6월 이브
비건 제조사 인증과 매출액 100억 원 달성 △ 2023년 4월 이노비즈 인증 획득·매출액 200억 원 달성(11월)·천안 스마트 팩토리 준공(12월) 등 짧은 기간 내에 괄목할 만한 수준의 성과를 이뤄냈다.
스마트 팩토리란 ‘인더스트리 4.0’이 가져오는 생산 공장의 혁신성을
추구하는 생산 전 과정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을 결합한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 이를 통해 생산성·품질·고객만족도를 최대한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 공장을 뜻한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 과정에서는 크게 여덟 가지
카테고리에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으로 실적 처리에 기반한 충진 공정 실시간 상황 모니터링, 공정 이슈 파악과 동시에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했다.
두 번째, 제조
데이터 분석 시스템 도입으로 제조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바탕 추적과 분석 관리를 진행, 제조 이슈 발생
즉시 분석과 추적이 이뤄진다.
세 번째, 자동화
프로세스 도입·자동화 설비에 의한 제품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품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완성할 수 있었다.
네 번째,
LOT 추적 시스템을 도입해 제품 LOT와 원재료 LOT
매칭에 의한 문제 발생 시 역추적 분석 시스템을 가동,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했다.
다섯 번째, 처방
시스템 도입에 의한 △ 작업지시·칭량·제조 이력 일원화 관리로 부서 간 명확한 데이터 확인 △ 원-버튼으로
전성분 리스트 취합하여 연구소 업무 효율 증대 △ 각 국가별 성분 한도·금지·알러젠 관리를 통한 문제 처방 사전 확인 등이 가능해졌다.
여섯 번째, 칭량 POP를 도입하여 입고 시 부착한 원료 라벨 바코드 리딩을 통한 자동 칭량은 오차 예방과 LOT 별 원료 재고·칭량 데이터 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일곱 번째는 품질검사 시스템 도입으로 체계화한
분석과 원료 목록·제품 실적 보고자료 관리의 용이함을 크게 개선했으며 이는 품질 분석 시간 단축·품질향상·고객사 신뢰 상승 효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납품·입고 예약 시스템을 도입해
정확한 발주 정보와 납품 일정 관리, 그리고 SCM망 구축으로
거래처 관리 용이·납품 지연 원천 방지와 시간 단축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원본 기사 출처 : 코스모닝-(주)이젬코 공동 기획 시즌2-스마트 팩토리 구축 성공사례①(주)노디너리 (cosmorning.com) ) |